WSL2가 Hyper-V를 이용한 VM 방식으로 바뀌면서
기존에 WSL1에서 사용하던 방식으로는 우분투의 GUI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없게 됐다.
WSL1은 호스트와 이더넷을 공유했기에 WSL1와 (로컬호스트인) 127.0.0.1 으로 접속이 가능했으나
WSL2 는 이더넷이 분리되어 동적으로 IP가 할당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VcXsrv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것이다.
(참고: https://www.lesstif.com/software-architect/wsl-2-windows-subsystem-for-linux-2-71401661.html)
따라서 기존처럼 ~/.bashrc에 로컬호스트 주소가 아닌 WSL2에 배정된 IP 주소를 써야 작동한다.
(참고: https://github.com/microsoft/WSL/issues/4106)
1. IP 주소 확인
$ cat /etc/resolv.conf
# This file was automatically generated by WSL. To stop automatic generation of this file, add the following entry to /etc/wsl.conf:
# [network]
# generateResolvConf = false
nameserver 172.29.192.1
2. ~/.bashrc 맨 아래에 다음 구문 추가
export DISPLAY=172.29.192.1:0
3. 실행 중인 OS 종료 (WSL이 아닌 Powershell에서 실행)
- Distro 이름 확인
wsl --list --verbose
NAME STATE VERSION
* Ubuntu-20.04 Running 2
- Distro 종료
wsl --shutdown Ubuntu-20.04
4. VcXsrv 재실행
추가 인수인 "-ac"를 추가해야 제대로 작동한다.
안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.
Authorization required, but no authorization protocol specified
Error: Can't open display: 172.29.192.1:0
이제 gedit를 실행해보자.
매번 /etc/resolv.conf로 IP 주소 확인하기 싫다면 처음부터 .bashrc에 다음 구문을 넣는다.
export DISPLAY=$(cat /etc/resolv.conf | grep nameserver | awk '{print $2}'):0
아니면 간단하게
export DISPLAY=$(grep -oP "(?<=nameserver ).+" /etc/resolv.conf):0
':: Tips ::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SL1에서 WSL2로 전환하기 (1) | 2020.06.02 |
---|---|
WSL2에서 gedit 폰트 바꾸기 (VcXsrv) (0) | 2020.06.01 |
제목 표시줄에 PC버전 VIBE(바이브) 노래 정보 표시하기 (0) | 2020.03.08 |